[ 앵 커 ]
성냥갑처럼 특색 없는 아파트가 밀집한 경관 개선을 위해 전국 도시마다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특별건축구역을 앞다퉈 지정하고 있는데요.
울산에서도 올해 처음으로 공공주택지구 두 곳이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됐습니다.
창의적인 설계로 인구 유입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상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지난 2016년 준공된 중구 우정혁신도시.
10개 공공기관과 아파트 단지, 상가 지구까지 갖춘 자족형 신도시로 조성됐습니다.
하지만 특색 없는 공동주택을 양쪽 외곽에 집중 배치한 일자형 구조 때문에 상권 응집력이 떨어져 인구는 7년째 2만 명을 밑돌고 있습니다.
2021년 준공된 북구 송정지구도 성냥갑처럼 단조로운 아파트 일색입니다.
공동주택 7천여 세대가 밀집해 있지만 녹지 공간 부족 등으로 최근 인구는 1만 7천여 명에서 정체 상태에 빠졌습니다.
울산시는 이처럼 특색 없는 도심경관 개선과 인구 유입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신도시 개발 현장에 특별건축구역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오는 10월 착공을 앞둔 KTX울산역 복합특화단지와 선바위 공공택지지구를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해 인구 유입을 노리겠다는 전략입니다.
선바위 신도시 개발을 맡은 한국토지주택공사, LH는 국토부 최종 승인을 받은 뒤 공동주택 용지 일부를 특별건축구역으로 신청할 예정입니다.
그동안 LH가 시행한 혁신도시나 송정지구 신도시 개발 현장과 같은 바둑판식 아파트 건설을 지양하겠다는 겁니다.
[ 박준원 / LH울산사업본부 차장 ]
"아무래도 울산시에 인제 그런 기존에 있는 정형화된 아파트 단지가 아닌 건축특화단지로 해서 설계를 하게 되면 아무래도(모든 게 나아집니다)"
용적률 상향과 경관 특혜 설계 등 각종 혜택이 주어지는 특별건축구역은 지난 2007년 건축법에 첫 도입됐습니다.
이후 서울과 세종, 부산 등 신도시 개발 현장에서 앞다퉈 도입했지만 울산에는 특혜 시비를 우려해 도입이 늦어졌습니다.
[ 강정규 / 동아대 부동산대학원 교수 ]
"특별하게 특정지역을 고밀, 그리고 랜드마크화 형태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특별건축구역이 반드시 필요하고 도시 경제 측면에서도 효과는 상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울산시는 공공개발 현장에서부터 특별건축구역 지정 구역을 점차 확대해 용적률과 건폐율 파격 혜택을 주는 한편 도시 건축 디자인 혁신 방안도 마련할 예정입니다.
MBC뉴스 이상욱입니다.
(영상취재: 최영)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기자
sulee@usm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