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코로나 반사효과' 관광단지 탄력..자본 유치 관건

이용주 기자 입력 2021-08-26 20:20:00 조회수 0

◀ANC▶

코로나 유행을 겪으면서

울산 대표 관광지인 간절곶을 찾는

관광객들이 더욱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코로나 반사효과' 때문에

간절곶 등 서생 일대 모습이 하루가 다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간절곶 일대 관광단지 지정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

대규모 투자를 하겠다는 민간자본은 아직

나서지 않고 있습니다.



이용주 기자.

◀END▶

◀VCR▶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빨리 뜨는

울주군 간절곶.



평일 오후 시간인데도 산책을 나온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집니다.



해안길을 따라 걷거나 탁 트인 잔디밭에 앉아

소소한 여유를 만끽합니다.



◀INT▶ 신혜원 / 부산 연제구

"애기들이 조금 더 크면 뛰어놀 수 있는 공간도 있고
바다도 함께 볼 수 있어서 그런게 좀 매력인 것 같아요."



투명포함)지난해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집계한 전체 간절곶 공원 방문객은 모두 5만563명.



코로나19 유행이 없었던 지난 2019년

3만9천740명과 비교해도 27%나 더 늘었습니다.



(S/U) 공식 집계를 하지 않는 카페나 펜션, 식당 등을
포함하면 서생지역 방문객 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울주군이 서생면 진하해수욕장부터

간절곶 공원까지 바다에 접한 해안지역을

서생해양관광단지로 개발하려는 이유입니다.



간절곶에서 진하 일원 320만㎡에

리조트와 여가 시설, 레포츠 시설 등을

짓겠다는 계획으로, 민간을 제외한 공공 예산만

총 2760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입니다.



현재 울주군은 기본 구상을 마치고

타당성 조사를 의뢰한 상태로,



앞으로도 중기지방재정계획 수립,

중앙투자심사 등 넘어야 할

여러가지 행정절차가 남아 있습니다.



CG) 울산시는 "개발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위 계획에 우선 반영하겠지만 특히 민자 유치

가능성을 따져보겠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여러가지 행정절차도 걸림돌이지만

민간자본 유치 여부가 사업성패의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MBC뉴스 이용주.///

Copyright © Ul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용주
이용주 enter@usmbc.co.kr

취재기자
enter@u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